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루 12시간 주식 거래가 가능한 대체거래소(ATS)가 가져온 변화들

by N잡러러 2025. 3. 14.
반응형

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는 기존 증권거래소(예: 한국거래소, 뉴욕증권거래소)와 별도로 운영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거래 환경을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한국에서는 2024년 말부터 하루 12시간 거래가 가능한 ATS가 도입될 예정이며, 이는 기존 시장에 여러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1. 거래 시간 확대에 따른 영향

기존 한국증권거래소(KRX)의 정규 거래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6시간 30분)로 제한적이었으나, ATS에서는 거래 시간이 12시간까지 확장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① 해외 투자자 유입 증가

  • 한국 증시는 미국과 유럽 시장이 열리기 전에 마감되었기 때문에 해외 투자자들에게 불리했습니다.
  • ATS의 12시간 거래로 인해 유럽 및 북미 투자자들도 편리한 시간에 거래할 수 있게 되어 해외 자본 유입이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② 개인 투자자(개미)들의 투자 기회 확대

  • 기존 정규장 시간(9:00~15:30) 동안 직장인들이 실시간 거래에 참여하기 어려웠습니다.
  • ATS 도입으로 인해 퇴근 후(예: 오후 6시~밤 9시)에도 거래할 수 있어 개인 투자자들의 접근성이 높아집니다.

③ 변동성 확대 가능성

  • 거래 시간이 늘어나면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 특히 글로벌 증시가 ATS 운영 시간에 반응하면서 한국 증시의 흐름이 더욱 빠르게 변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거래 방식 및 수수료 변화

ATS는 전통적인 거래소보다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더 효율적인 거래 환경을 제공합니다.

① 거래 수수료 인하 가능성

  • ATS는 주로 전자 거래 시스템을 활용하여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이는 기존 거래소(KRX)의 수수료보다 낮은 수수료 구조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아 투자자들에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② 다크풀(Dark Pool) 거래 증가

  • ATS에서는 '다크풀'이라는 비공개 주문 시스템을 통해 대량 주문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 대형 기관 투자자들은 시장 가격에 영향을 덜 주면서 대량 매매를 할 수 있어 더 많은 기관 투자자들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기존 거래소(KRX)와의 경쟁 심화

ATS의 도입은 한국거래소(KRX)와의 경쟁을 불러올 것입니다.

① KRX의 시장 지배력 약화 가능성

  • 현재 한국 증시의 모든 거래는 KRX에서 이루어지지만, ATS가 활성화되면 투자자들이 대체거래소를 이용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 이에 따라 KRX는 거래 환경을 개선하고 수수료를 조정하는 등의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② KRX도 야간 거래 확대 가능성

  • 경쟁이 심해지면 KRX도 거래 시간 연장을 검토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현재 미국 증시(NYSE, NASDAQ)는 이미 장 마감 후 ‘애프터 마켓(After Market)’을 운영하고 있듯이, KRX도 이를 도입할 수 있습니다.

4. 국내 증권시장 전반의 변화

① 시장 효율성 증가

  • ATS는 주문 체결 속도를 빠르게 하고, 알고리즘 거래 등을 도입하여 시장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이로 인해 국내 증권시장의 경쟁력이 강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② 새로운 투자 상품 및 전략 등장

  • 거래 시간이 늘어나면서 해외 시장과 연계된 상품(예: 글로벌 ETF, 파생상품)들이 더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 또한, 단기 트레이딩 전략(예: 고빈도매매, 스캘핑 등)이 더 활발해질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

대체거래소(ATS)의 도입으로 한국 증시는 ▲거래 시간 확대 ▲거래 비용 절감 ▲해외 투자자 유입 ▲시장 경쟁력 강화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맞이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변동성 증가 ▲기존 거래소와의 경쟁 ▲투자자 간 정보 비대칭 등의 부작용도 존재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ATS가 정착되면 한국 증권 시장의 구조가 기존보다 더욱 유연하고 글로벌 시장과 밀접하게 연결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