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 도약 계좌 조건 및 신청방법

by N잡러러 2023. 9. 6.
반응형

2023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여 한 달에 최대 70만원까지 5년간 납입하면 만기 시 최대 5천만원까지 받을 수 있으며, 
정부 지원금과 이자를 더하면 본인이 넣은 원금보다 800만원 정도 더 모으게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본금리는 5대 시중금리 기준 4.5%를 책정하였으며, 여기에 우대 금리 조건을 맞추면 1.5%를 더해 최대 연 6%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모두 비과세로 일반적으로 이자세를 15.4%로 지불하는 것과 비교하면 비과세는 큰 혜택이 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하고 자산 형성에 도움을 주기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입니다. 청년이라면 가입 요건을 확인하여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1. 지원 조건
     -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개인소득 요건 가구소득 요건 모두 충족해야 함)
     - 연봉 7,500만원 이하

     -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180% 이하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80%
            1인 가구 – 3,740,206원
            2인 가구 – 6,221,079원
            3인 가구 – 7,982,669원
            4인 가구 – 9,721,735원
            5인 가구 – 11,395,238원
            6인 가구 – 13,010,366원

2.  지원내용
     - 기본금리 4.5%
     - 우대금리 최대 1.5% (매달 10만원 이상 저축, 2년 이상 유지)
     - 정부지원금 최대 200만원 (가입 직전 연도 연봉 6,000만원 이하, 매달 40만원 이상 저축)
      - 이자소득 비과세

3. 기여금 지급구조

     - 기본적으로는 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만기 5년 적금상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납입이 의무는 없습니다. 여기서 개인소득 수준과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매칭 지원되며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이 제공됩니다.
         소득 별로 매칭비율이 다른 이유는 소득이 적은 경우 납입 금액을 높이기 어렵기 때문에 적은 금액으로도

         기여금을 더 많이 주기 위한 것입니다. 또한 기여금 지급한도를 넘은 금액의 경우에는 기여금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4. 가입방법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이라면, 아래 11개 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5. 가능 은행

    시중 11개 은행  및 기본 금리  은행마다 차이가 있지만 우대금리가 적용되면 최고 6.00%


        IBK, 신한, KB, 우리, NH, 하나 – 4.50%
        DGB, 경남은행, 부산은행 – 4.00%
        JB, KJB – 3.80%

  

6. 가입기간
    가입 기간은 2023년 6월 15일부터 2023년 12월 31일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 매월 1~15일까지이고 2~3주의 심사 기간을 거친 후 승인

 

7. 가입절차
    11개 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
      →신청 후 은행에서 소득·재산 심사를 거쳐 가입 가능 여부를 통지
      → 가입 가능 여부 통지 후 10일 이내에 은행에 방문하여 계좌를 개설

 

8. 기타 문의

      서민금융진흥원(1397)

 

 

반응형